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개념 및 설명
안녕하세요,
벤처기업의 투자 퍼포먼스를 나타내는 2가지 지표는 바로 멀티플(Multiple)과 IRR(내부 수익률)인데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멀티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멀티플(Multiple)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멀티플(Multiple, 회수 현금 배수) 개념 및 설명
안녕하세요, 혹시 멀티플(Multiple)과 내부수익률(IRR)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 용어들은 바로 벤처캐피탈이 스타트업에 투자할때 투자 수익을 나타내는 2가지 지표인데요, 오늘
venture-capital.tistory.com
투자 지표 2가지 중 하나인 내부수익률(IRR)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의 개념부터 알아야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순현재가치의 개념에 대해 같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순현재가치(NPV) = 수익의 현재가치 - 비용의 현재가치
예시를 들어서 설명드려보겠습니다.
만약 지금 1,000원을 투자하면 1년후 200원, 2년후 300원, 3년후 400원, 4년후 200원을 받을 수 있는 투자처가 있다고 해볼게요. 이 투자는 합리적인 것일까요?
이럴 경우 단순히 4년동안 얻는 총 수익의 합 1,100원(200+300+400+200)이 현재 투자액인 1,000원보다 많다고 좋은 투자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같은 금액이라도 현재의 돈와 미래의 돈의 가치는 다르기 때문이죠.
쉽게 얘기해서 지금 은행에 1,000원을 예금으로 넣으면 이자를 포함한 금액을 1년후 되돌려 줍니다.
그러므로 같은 돈이라면 현재가 미래보다 더 가치가 높은 것이죠.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지금 1,000원을 투자하면 1년후 200원, 2년후 300원, 3년후 400원, 4년후 200원을 받을 수 있는 투자처가 있을 때 이 투자의 타당성을 보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 순현재가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1~4년 후에 받는 금액이 현재가치로 얼마인지를 계산해봐야 합니다.
이때 이자율은 3%(0.03)이라고 가정해볼게요.
위의 식을 이용해서 1~4년후에 받는 금액의 현재가치를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4개항을 다 더하면 순현재가치 = 수익의 현재가치 - 비용의 현재가치 의 식에서 '수익의 현재가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더해보면 1,020.68원이 나오네요.
위의 식이 오른쪽 항인 '비용의 현재가치'는 구하기 쉽습니다.
현재 시점에 1,000원을 투자한다고 했으므로 비용의 현재가치의 값은 1,000원인 것이죠.
그러므로 순현재가치(NPV)를 직접 구해보면
순현재가치(NPV) = 1,020.68 - 1,000 = 20.68
그러면 이 순현재가치라는 개념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 것일까요?
순현재가치가 0보다 크냐, 작냐에 따라서 투자판단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NPV > 0 : 투자 진행
→ NPV가 0보다 크다는 것은 은행의 이자등을 고려했을 때도 현재 기준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더 큰 상황이므로 투자를 해도 됨
- NPV < 0 : 투자 불가
→ NPV가 0보다 작다는 것은 은행의 이자등을 고려했을 때 현재 기준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작다는 것이므로 투자를 하면 안됨.
물론 소득세 등을 비롯한 여러 개념이 추가될 수 있겠지만 본 포스팅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간단한 상황을 가정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순현재가치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혹시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을 통해 말씀해주세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