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IT업계에서 너무나도 중요한 개념인 API에 대해 공부해볼게요!

 

* API란?

- 클라이언트, 서버와 같이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만든 체계

  : 서버 개발자가 API를 개발하고, 클라이언트 개발자는 API를 사용함.

- 클라이언트, 서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venture-capital.tistory.com/19

 

클라이언트 & 서버 컴퓨터(feat.프론트엔드, 백엔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개념은 개발자와 소통할 때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개념입니다. 카카오톡을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카카오톡의 새로운 버전을 업데이트 하려고 업데이트 버튼을 클

venture-capital.tistory.com

 

* CRUD

- Create, Read, Update, Delete의 약자.

-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서버 컴퓨터에 요청하는 4가지 요청사항

CRUD 요청 설명 (출처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 CRUD요청은 요청을 수행하는 곳의 주소를 가짐. 

  → 서버의 기능을 원하는 클라이언트가 해당 주소로 요청을 보내면 됨. 

 

* RESTful API

- 정보를 주고받음에 있어서 개발자들이 많이 쓰는 API형식(약속)

RESTFUL API (출처 :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 HTTP 상태코드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서버가 반응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코드

- 200(요청 성공), 400(요청 오류), 500(서버 오류)번대가 가장 많이 사용됨.

404 에러코드


※ 본 포스팅은 최원영님의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책의 내용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책 내용을 직접 읽고 쓴 포스팅으로, 책 내용과 다르거나 틀린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