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내부수익률(IR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부수익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멀티플과 현재순가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아래 포스팅에 설명해두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 :)
* 멀티플 설명 포스팅
멀티플(Multiple, 회수 현금 배수) 개념 및 설명
안녕하세요, 혹시 멀티플(Multiple)과 내부수익률(IRR)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 용어들은 바로 벤처캐피탈이 스타트업에 투자할때 투자 수익을 나타내는 2가지 지표인데요, 오늘
venture-capital.tistory.com
* 순현재가치 설명 포스팅
https://venture-capital.tistory.com/m/9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개념 및 설명
안녕하세요, 벤처기업의 투자 퍼포먼스를 나타내는 2가지 지표는 바로 멀티플(Multiple)과 IRR(내부 수익률)인데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멀티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멀티플(Multiple)에 대한 설명
venture-capital.tistory.com
순현재가치를 설명한 포스팅에서
순현재가치(NPV) = 수익의 현재가치 - 비용의 현재가치 의 식을 설명드렸습니다.
여기서 바로 IRR의 개념이 등장합니다.
내부수익률은 순현재가치(NPV)=0으로 만드는 이자율입니다.
즉, 투자비용과 투자의 예상수익이 같아져 투자의 현재가치가 0이 되는 수익률
쉬운말로는 투자했을 때 최소한 손해는 안보는 이자율의 값이 내부수익률의 정의입니다.
순현재가치(NPV)를 설명할 때 아래 식을 같이 공부해보았는데요,
내부수익률의 정의에 의해 위의 식에서 NPV = 0 으로 두면,
위의 식①을 풀어서 나온 i값이 바로 IRR(내부 수익률)이 되는 것입니다.
보시다시피 식①은 N차 지수방정식이므로 손으로 풀기는 힘듭니다.
보통 엑셀식을 이용하거나 공학용 계산기를 이용해서 IRR값을 구합니다.
그럼 지난포스팅에서 했던 예시를 이용해서 내부수익률을 구해보겠습니다.
Q) 지금 1,000원을 투자하면 1년후 200원, 2년후 300원, 3년후 400원, 4년후 200원을 받을 수 있는 투자처의 IRR값은?
풀이)
위에서 구한 식①에 각각 값들을 대입해보겠습니다.
이 식을 만족하는 i의 값을 엑셀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 값은 4%가 나오네요.
결과를 해석해보면 지금 1,000원을 투자하면 1년후 200원, 2년후 300원, 3년후 400원, 4년후 200원을 받을 수 있는 투자처의 내부 수익률은 4%,
즉, 최소한 손해는 안보는 수익률(=내부수익률)은 4%입니다.
현재 은행 예금이자가 4%보다 높다면 굳이 이 투자를 진행할 필요가 없겠네요.
만약 4년후 회수금액을 500으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내부수익률이 무려 13%가 되네요.
이런 투자는 아주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어떤 투자를 할때 내부수익률을 구해봄으로써 투자의 타당성을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ㅎㅎ
IRR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입니다!
추가로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말씀해주세요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