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수출 품목 1위는 반도체입니다.

2019년 기준 반도체 수출이 17.9%로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렇게 반도체를 많이 수출하는 반도체 강국인데, 최근에 있던 반도체 대란 사태는 왜 벌어진걸까요?

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2/01/18/53CMLSMTTVG45FU7NFTVGUCMJA/

 

車 반도체 또 골치… 올해 벌써 14만9000대 생산 차질

車 반도체 또 골치 올해 벌써 14만9000대 생산 차질

biz.chosun.com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의 종류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반도체는 크게 2가지 종류,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로 나뉘는데요,

이때 메모리반도체는 다시 D램과 낸드플래시로 나뉩니다.

 

* 메모리 반도체

1) D램

 - D램은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

 - 한국은 D램의 절대 강자

 - 전세계 D램 시장의 42.1%를 삼성전자가, 29.5%를 SK하이닉스가 차지하고 있음.

 - 두 회사를 합치면 한국의 D램 점유율은 71.6%

 

2) 낸드플래시

 - 낸드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남아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점유율은 33.9%로 D램과 마찬가지로 1위.

 - SK하이닉스는 11.2%로 5위에 위치함.

 - 최근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인텔의 낸드플래시 사업부분을 인수하였음.

 - 우리에게 익숙한 SSD는 낸드 플래시에 기반한 저장장치임.

낸드 플래시가 데이터 저장이라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되, 데이터 저장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칩과 캐시 메모리용 D램, 그리고 여러 수동 부품이 함께 PCB상에 실장되어 최종적으로 SSD라는 완제품을 구성하는 것임.

 

3)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메모리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31%

나머지 69%는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임)

 

* 비메모리 반도체

- 데이터를 저장하는 목적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반도체를 포함하는 개념.

- 전자기기의 '뇌'역할을 하는 연산 반도체, 디스플레이의 화려한 화면을 만들어주는 그래픽 반도체, 통신 신호를 처리해주는 통신 반도체,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감지해 전기 신호를 처리해주는 센서 반도체, 기계 장치가 정밀하게 움직이도록 구동을 돕는 구동 반도체 등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가 있음.

- 비메모리 반도체를 간혹 시스템 반도체라고 잘못 칭하기도 하는데, 시스템 반도체는 비메모리반도체의 한 종류에 불과함.

- 로직(25%), 마이크로콤포넌트(16%), 아날로그(13%), 광(옵티컬, 8%) 등 종류가 다양함

- 한국의 비메모리반도체 점유율은 3%.

- 이번 자동차용 반도체 대란의 원인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이고, 이는 시스템 반도체가 들어감.

- 미국 31.4%, 일본 22.4%, 독일 17.7%의 점유율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