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투자자들사이에서 공모주 투자의 열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공모주 투자란 쉽게말해서 주식시장에 새롭게 상장하는 기업의 주식을 받는 행위인데요,

상장을 원하는 기업들 입장에서 생각보다 상장을 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코스피보다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상장요건을 만족하기 쉬운데 그럼에도 기업들이 코스닥에 상장하는데 필요한 기간이 평균 13.3년정도가 걸린다고 합니다.

 

그럼 기업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주식시장에 상장하게 되는걸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상장 절차 및 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상장 조건 맞추기

상장을 시도하려는 기업은 가장 기본적으로 상장조건을 맞춰야합니다.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a. 한국 거래소가 요구하는 상장 요건 만족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에서 요구하는 상장요건이 각각 다른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venture-capital.tistory.com/53

 

거래소별 상장 요건(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상장은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이름을 올리는 행위를 뜻합니다. 뜨거운 공모주였던 SKiet, 카카오게임즈, 빅히트 등도 비상장 주식으로 장외시장에서 거래가 되다가 거래소에 상장을 하였

venture-capital.tistory.com

b. 특례상장 요건 만족

일반 요건을 만족하시못하더라도 특별한 방법으로 상장할 수 있는 '특례상장'제도가 있습니다.

특례상장은 다시 3가지 방법(기술평가 특례, 성장성추천, 이익미실현)으로 나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venture-capital.tistory.com/55

 

코스닥 특례상장 종류 (기술평가 특례/성장성 추천/테슬라요건)

어떤 기업이 코스피나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려면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요, https://venture-capital.tistory.com/53 거래소별 상장 요건(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상장은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도

venture-capital.tistory.com

 

2) 상장 규모 및 시기 확정

상장 조건을 만족한 기업은 원하는 규모의 투자금, 상장 시기 그리고 자금 사용 목적을 정하여 투자설명서에 기재해야 하는데요,

아래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상장한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투자설명서 내용중 공모개요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 이 기업은 공모를 통해 약 1.7조의 투자금을 모집한다고 합니다.

- 해당 투자금은 폴란드 현지 법인 투자금으로 100% 활용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3) 회계감사인의 선정 및 관리

- 상장을 시도하려는 기업은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지정해주는 공인회계업체를 통해 회사의 회계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4) 대표주관회사 선정

- 상장하려는 회사는 상장 절차에 있어서 도움을 받을 증권사를 선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선정된 증권사를 대표주관회사라고 부릅니다.

- 한 증권사가 단독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여러 증권사가 함께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같이 매우 규모가 큰 상장의 경우 여러 증권사로 나누어 진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참고로 어떤 증권사가 상장하려는 회사의 지분을 5%이상 소유하고 있으면 주관사가 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규정은 국내회사에만 적용되고 해외 회사의 경우 적용되지 않습니다.

네오이뮨텍의 경우 미국회사이기에 지분을 5%이상 보유한 미래에셋대우가 주관사가 될 수 있었습니다.

 

5) 상장예비심사 청구

- 상장요건을 갖춘 기업이 실제 성장할 수 있는지 승인받기 위해 성장예비심사 청구서라는 양식의 서류를 작성, 제출해 심사받는 과정.

- 거래소에 이 청구서를 제출하면서 상장 심사 수수료(코스피 500~2,000만원 / 코스닥 250~1,500만원)을 내면 심사 과정을 거치게 됨.

- 청구서 제출 후 거래소는 45일안에 심사 결과를 통보해야함.

- 공시 채널 KIND를 통해 진행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음.

맥스트의 상장 절차 (출처 : KIND)

 

6) 심사 결과 통보

- 심사 결과가 미승인이나 철회로 나와 더이상 상장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서류 미비점을 보완하거나 상장 요건을 맞춘 후 재신청을 하면 됩니다.

- 드물게 상장 승인을 받았지만, 공모를 진행하지 않고 철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카카오게임즈의 경우 상장 예정일즈음해서 증시의 분위기가 좋지 않아 회사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우려에 상장을 철회한 이력이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아이언님의 공모주 퍼펙트 투자전략 책 내용을 공부하고 발췌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