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탈 업계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들에 대해 공부해보는 세번째 시간입니다!
혹시 1, 2번째 포스팅을 보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 가셔서 보고오시면 이번 포스팅을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 벤처캐피탈 관련 용어 정리#1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탈 업계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들에 대해 공부해보는 첫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첫 포스팅인 만큼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다룰건데요, 스타트업 및 VC종
venture-capital.tistory.com
스타트업, 벤처캐피탈 관련 용어 정리#2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탈 업계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들에 대해 공부해보는 두번째 시간입니다! 혹시 첫번째 포스팅을 보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 가셔서 보고오시면 이번
venture-capital.tistory.com
* 서비스 지표
- 사용자수/방문수/재방문율같은 직접적으로 수익과 연결되지 않는 지표.
ex) 페이스북과 같은 B2C 온라인 서비스 사업은 서비스지표는 급격히 성장하더라도, 수익모델 활성화에는 시간이 걸려 매출은 뒤늦게 오르는 경우가 많음.
* BEP
- Break-Even Point의 약자로 손익분기점을 뜻함.
* 네트워크 효과
- 어떤 고객의 수요가 다른 고객의 수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효과.
- 메일 서비스와 달리 메신저 서비스는 동일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간 대화만 가능함
- 카카오는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라는 큰 플랫폼을 선점하였는데, 초기에 수익모델이 없는 상태에서도 미래를 위해 장기적으로 서비스에 투자하였기에 가능했음.
* 사모펀드
- 넓은 의미의 사모펀드는 공모방식이 아닌 비공개적으로 소수의 출자자로부터 출자받는 사모방식의 펀드를 의미.
- 국내에서는 사모펀드가 좁은 의미의 바이아웃(Buy-out) 투자방식의 경영참여형 PEF(Private Equity Fund)를 의미하기도 함.
* 해지펀드(Hedge Fund)
- 시장 상황에 개의치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공격적으로 투자하여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 어원인 '헤지(Hedge)'는 손실을 상쇄시키는 것을 의미
* 세컨더리펀드(Secondary Fund)
- 주로 기존 투자자의 보유 주식(구주)을 매입하여, 추가 성장 시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 투자자의 투자 회수를 도와 유동성 확보를 촉진하여 투자 생태계의 활성화에 기여하므로, 정책 자금으로 결성되는 펀드가 많음.
* 콜드 메일
- 스타트업이 수신자를 직접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투자 유치를 위해 보내는 메일을 뜻함.
- 파트너/심사역 개인에게 보내는 메일 외에 투자 제안 메일을 접수하는 투자사의 공식 계정에 보내는 메일도 포함됨.
* 딜로그(Deal Log)
- 투자사의 사내 ERP에 스타트업 미팅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
- 투자사와 스타트업이 가진 미팅이 단순한 격식없는 미팅일 경우 딜로그를 남기지 않아도 됨.
※ 본 포스팅은 '스타트업 투자 유치 전략'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책 내용을 직접 읽고 쓴 포스팅으로, 책 내용과 다르거나 틀린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댓글